2021년 6월 9일 수요일

기술 관련 포스팅 (21.06.09)

Tech


Webcontainers

혁신적인 제품이나 기술들은 언제나 그렇듯, 세상을 바꿉니다.

2013년 첫 등장한 Linux Container 기반의 OS 가상화 도구인 Docker 는 현재 서버의 가상환경뿐 아니라 End user 인 윈도우 사용자와 맥 User 의 가상환경 까지도 편리하게 바꾸어 놓았죠.

예를들어 개발자가 Apache Spark 관련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하려고 한다면,

전통적으로는 Java + Spark 설치 후 Winhadoop 과 Jupyter notebook 설치. 그리고 필요하다면 Anaconda 등을 설치해야만 했지만,

Docker 를 사용한다면 아래의 command 면 바로 사용할수 있죠.

$ docker pull jupyter/all-spark-notebook

$ docker run -p 8888:8888 jupyter/scipy-notebook:33add21fab64

이런 컨테이너 기술을 일반적인 서버나 컴퓨터 환경이 아닌 웹브라우져 에서도 실행하게끔 개발하는 곳이 있습니다.

개발환경을 만드는 stackblitz 라는 곳에서 Google 과 협업하여 웹브라우져에서 Next/Node.js 및 GraphQL 등의 Backend 실행이 가능하게끔 WebContainer Beta 버전을 공개하였습니다.

현재는 Chrome 과 Edge 일부 버전에서만 지원한다고 하지만,

공개한 내용을 보니 웹브라우져 내부 에서 HTTP Server 를 새로 띄워 브라우저와 서로 Socket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군요.

개발자 도구로 디버깅도 가능하다고 하니, 머지 않아 브라우져가 Middle ware 역할을 하는 기술들도 나올듯..

 

웹브라우저 사용통계

위의 WebContainers 기술과 함께 보면 도움이 될만한 자료입니다.

글로벌 마켓셰어 사이트의 브라우져 사용량 통계 입니다.

한국의 경우 2021.05 기준으로 아래와 같네요.

  • Chrome : 54.31%
  • Samsung Internet : 12.69%
  • Safari : 12.51%
  • Whale : 7.99%
  • Edge : 6.32%
  • IE : 3.15%

IE 가 3% 로만 표기되는 것 보니 인트라넷이나 공공기관 사이트는 통계에 포함되지 않은듯 합니다만, 어쨌든 사용자 기준으로 알려주는듯 하군요.

관심 있으신 분은 한국 사용자들의 소셜 미디어 사용 통계 도 눈여겨 보시기 바랍니다.

 

Datanymizer

개인정보 데이터를 보안 요구사항에 맞게 재처리 하는 기술은 전세계적으로 상품성이 높은 기술입니다.

Datanymizer 는 DB 내용을 읽어 원하는 테이블/필드 를 Anonymous(익명) 하게 바꾸어 주는 Rust 로 만든 Open S/W 입니다.

  • yaml 설정 기반
  • Tera 템플릿 엔진 연동
  • 중간 저장 단계를 없애서 GDPR 준수

현재로서는 PostgreSQL 만 지원하고 MySQL 은 조만간 release 된다고 하는군요.



기타


 

손목의 문제인줄..

손목 터널 증후군으로 고생하다 수술까지 해본 개발자가 이후에 각종 장비(?)를 섭렵한 후기를 포스팅 하였군요.

블로거 당사자도 예전 손목 터널증후군으로 고생을 많이 해본적이 있던터라 공감되는 내용들이 꽤 있습니다.

 

메타버스가 대체 뭐야?

전세계적으로 요새 화두죠.

국내 기업들도 앞다투어 메타버스에 투자계획을 밝히거나 서비스에 나선다고 속속들이 밝히고 있습니다.

위 영상은 VR Oasis 의 Mike 가 가상환경에서 로지텍 키보드를 사용, 가상과 실제환경을 인터페이스 하여 메타버싱 하는 영상입니다.

영상과 같이 클라우드 기술, 그리고 VR 기술이 합쳐지면 앞으로 영화 Matrix 의 세계관이 펼쳐질수 있을까요?